본문 바로가기
복지

의료급여-보건복지부

by 지금기쁨 2016. 10. 9.
반응형

의료급여

의료급여수급권자에게 의료비를 지원하여 국민보건 향상 및 사회복지 증진에 기여합니다. 



누가 받을 수 있나요?

  • 지원대상
    •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, 의료급여법에 의한 수급권자, 타법*에 의한 수급권자에게 지원합니다.
      • 타법에 의한 수급자
        • - 이재민
        • - 의상자 및 의사자의 유족
        • - 입양아동(18세미만)
        • - 국가유공자
        • - 중요무형문화재의 보유자
        • - 북한이탈주민
        • - 5ㆍ18 민주화운동 관련자
        • - 노숙인
    • 의료급여수급권자 중에서 급여대상의 본인부담금 기준액을 초과한 자에게 지원합니다.
    •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1종 수급권자와 2종 수급권자로 구분하여 지원합니다.
  • 선정기준
    • 1종 의료급여수급자 자격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      • 근로능력이 없거나, 보건복지부 장관이 근로가 곤란하다고 인정한 자로 구성된 세대의 구성원
      •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 정한 보장시설에서 급여를 받고 있는 자 (국민기초생활보장 시설수급자)
      •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한 자(국민기초생활보장 특례수급자)
      •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희귀난치성질환 및 중증질환자(암환자·중증화상환자)로 등록된 자
    • 2종 의료급여 수급자는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 중에서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자를 말합니다.
    • 행려환자(의료급여법에 의한 수급권자)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지원합니다.
      • 적용대상: 의료급여법 제3조제1항제10호 및 동법 시행령 제2조제1호의 규정에 해당하는 자
      • 선정기준(다음 4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함)
        • - 일정한 거주지가 없는 자
        • - 행정관서(경찰서·소방서 등)에 의하여 병원에 이송된 자
        • - 의사의 진단서상에 응급의료(응급처치 및 응급진료)를 받은 응급환자라는 사실 확인이 가능한 자
        • - 신분증 또는 신원조회를 통해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거나 부양을 기피하는 것으로 파악된 자
    • 타법에 의한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모두 의료급여 1종으로 지원합니다.

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?

  • 지원내용
    • 선정 기준에 따라 의료비를 지원합니다.

어떻게 신청하나요?

  • 신청방법
    • 시/군/구청에 방문하여 신청합니다.
  • 지원절차
    •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지원합니다.
    • 1 초기상담 및
      서비스 신청

      시/군/구청에서 초기 상담을 받고 서비스 신청

    • 2 대상자
      통합조사 및 확정

      해당 지자체에서 대상자를 통합조사하고 확정

    • 3 의료급여증 발급

      해당 지자체에서 의료급여증을 발급

    • 4 진료시,
      의료급여증 제시

      의료급여기관에서 진료를 받을 때, 의료급여증을 제시 

출처=보건복지부, 복지로


글을 읽은 모든이에게 가 넘치길 바랍니다.

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한 공감을 눌러주세요. 감사합니다.


반응형